닥터 방담의 심리학 Tips & Research

심리학/심리학 Tip

마음이 평온해지는 마음챙김 (Mindfulness)

닥터 방담 2023. 6. 17. 19:04
반응형

마음이 평온해지는 마음챙김 (Mindfulness)

목차
1. 마음챙김이란
2. 마음챙김의 주요 특징
3. 마음챙김 수련법

1. 마음챙김이란?

명상

마음챙김은 현재에 집중하는 수련입니다. 개방적인 태도와 호기심을 토대로 자신의 신체 및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것이죠. 결과적으로는 과거에 머물거나 미래를 걱정하기보다 현재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도와줍니다.

 

그럼 왜 마음챙김을 하느냐? 하면 주로 3가지 측면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스 감소, 건전한 자의식 함양, 집중력 향상이 바로 그것입니다.

  • 스트레스 감소: 비판단적 태도 및 현재 순간에 집중하는 행동으로 인해 부정적인 생각이 줄어듭니다.
  • 건전한 자의식 함양: 비판단적 태도는 본인 및 타인을 평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게끔 도와줍니다.
  • 집중력 향상: 마음챙김은 잡생각을 없애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2. 마음챙김의 주요 특징

1) 지금 이 순간

촛불이 있구나~

마음챙김은 현재 순간에 집중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길을 걷다보면 다른 생각을 하기 일쑤인데, 그렇게 하지 말라는 겁니다. 대신에 한 발짝 내디딜 때 발에서 느껴지는 압력, 주변에서 풍겨오는 꽃 향기 등등 지금 이 순간 외부에서 밀려오는 자극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2) 비판단적 태도

그런데 이 때, 판단을 하면 안 됩니다. '아, 이 꽃향기는 향기롭네.' '발이 아프네' 와 같이 좋고 나쁨을 판단하지 말라는 소리입니다. 그 대신에, 그냥 느끼는 겁니다. 1번 문항 말대로 그 순간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것이죠.

 

마음챙김을 하다가 주의가 산만해질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때에도 '아, 또 다른 생각을 했구나!' 하고 자책하기보다는 자연스레 본인의 주의를 현재 순간에 집중하는 것이죠. 이 과정은 닻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 이건 아래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와, 이건 뭘까?

3) 개방적인 태도 (호기심)

마치 여러분이 방금 태어난 것처럼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가령 음식을 처음 먹는다면 어떻겠습니까? 그냥 무작정 드시겠습니까? 아니면 맛과 질감을 충분히 음미하면서 '이런 맛이구나' 하고 받아들이겠습니까? 아마 후자일 가능성이 높겠죠.

3. 마음챙김 수련법

1) 명상

명상 2

판을 깔고 정식으로 하는 명상입니다. 조용한 공간에 머물면서 호흡, 신체 감각, 소리를 온전히 느낍니다. 다른 잡다한 생각은 버리고, 현재 순간에 집중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닻이라는 개념입니다.

 

닻이란 뭐냐? 여러분이 다른 생각을 할 때마다 다시 이 순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감각입니다. 배에 닻이 왜 있습니까? 풍랑에 떠내려가지 않게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까? 여기서의 닻도 이와 같습니다.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명상을 하다가 '아, 어제 무슨 일이 있었더라?' 하고 생각이 났다고 칩시다. 이 때, 생각에 휩쓸리지 마시고 '아, 내가 다른 생각을 하고 있구나!' 하고 알아차린 다음, 지금 느껴지는 촉각에 대신 주의를 기울이는 겁니다.

2) 바디 스캔

말 그대로 신체의 각 부분에 집중을 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무슨 말인지 이해가 가실 겁니다. 저 같은 경우 정수리부터 얼굴, 목, 가슴, 손가락, 발가락 순으로 위에서 아래로 바디 스캔을 했는데, 그 반대도 가능합니다.

3) 일상 생활에서의 마음챙김

바닷바람이다~!

앞서 걷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을 드렸죠. 이처럼 걷기, 먹기, 마시기, 샤워하기 등등 여러분의 일상 생활에서 수행하는 활동을 그냥 무의식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조금 다르게 해보는 겁니다. 샤워를 하면서 차가운 물의 감촉을 느낀다던가,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목소리 자체에 집중을 한다던가 하는 식이죠.

 

반응형